Skip to content

Programming Language

어떤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간과 컴퓨터 사이에서 의사 소통을 가능케 하는 인공적인 언어

  • Natural Language(자연어)와 달리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엄격하게 정의됨.
  • compiler나 interpreter등을 통해 컴퓨터(기계)가 수행할 수 있는 machine language(기계어, binary code)로 변환되어 수행됨.

다른 관점으로 Programming Language를 말한다면,

  •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할당하는 등의 기능과
  • 데이터의 값에 대한 조건문 및 해당 조건문의 결과에 따른 분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 특정 조건등에 따른 반복문 기능 등을 제공해야 한다.

때문에 Programming Language를 배울 때,

  • 변수의 선언과 값을 할당하는 것과
  • 데이터를 담는 방법,
  • 조건문, 분기문, 반복문 등을 기본적으로 배우게 됨.

여기서 조건문, 분기문, 반복문 등을 control structure 라고 부름.

참고 : Control structure


분류

기계친화적인지 인간친화적인지에 따른 분류 : Abstraction 수준에 의한 분류

  • Low-level Language
  • High-level Language

분류 기준 중 가장 명확한 편이나, 개인적으로 기계친화적이라고 느껴지는 언어들도 고급언어라는 게 함정.

Low-level language에서 abstraction 수준이 낮고, High-level language로 갈수록 abstraction 수준이 높음.

작동방식에 따른 구분.

  • Compiler Language
  • Interpreter Language (or Scripting Language)

interpreter language의 성능향상을 위한 JIT등의 기술들로 인해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음. 우선 명시적인 compile과정이 없을 경우, interpreter language라고 생각해도 된다. 최근 scripting language는 general purpose programming language보다 특정 domain에 한정된 DSL(domain-specific language)들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특정 task나 환경에 국한된 언어들(대부분이 interpreter방식)을 가르키는 데 쓰인다.

프로그래밍 작성 기법 별 구분 (paradigm)

  • 절차중심 언어
  • 객체지향 언어

사실 가장 모호한 분류이기도 함.